디지몬카드게임 ST18 선풍의 수호자, ST19 동화의 무도가 독자적으로 발매되면서 함께 리버레이터 카드군이 부족한 상태로 리버레이터 덱을 꾸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테이머들에게서는 농담처럼 폰체스몬 덱이 지원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호기심에 한번 해보았는데, 예상외의 성적이 나오는 것이 아니겠는가...
테이머배틀에서 3승 1패라는 신기한 성적을 만들어낸 폰체스몬 덱을 살펴보자
[기본 운영]
기본 운영은 어그로 덱이다.
어그로 덱인 만큼 초반에 빠르게 속도를 내는 게 관건이며, 소멸 시 효과로 폰체스몬을 지속적으로 필드에 유지하면서 다음 턴의 공세를 이어가거나, 다음 상대 턴의 방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횡전개에 대응하기 좋은 청녹조그레스나, 적하브, 청하브 등 필드를 잘 치우거나 막아내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덱을 상대로는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장황하게 적었지만, 위에 적었던 3승 1패는 결국 매치업에서 운이 따라줬기에 따라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재미있는 경험이었던 만큼, 한번 작성해보겠다
[덱 구성]
- 디지타마
BT6-005 퍼그몬 *4
-디지몬
BT13-035 폰체스몬 *4
BT13-064 폰체스몬 *4
ST19-04 폰체스몬 *3
ST19-05 폰체스몬 *4
BT14-058 워매몬 *4
BT12-065 세피로트몬 *4
BT12-066 머큐레몬 *2
BT11-068 콩알몬 *4
BT13-032 점보가메몬 *2
ST15-12 워그레이몬 ACE *2
- 테이머
BT13-101 미키&매리 *4
BT13-102 한지호 *2
BT14-086 타마히메 사츠키 *4
ST19-14 키노사키 아리사 *3
- 옵션
EX4-068 헤븐즈 저지먼트 *4
[카드 구성]
- BT6-005 퍼그몬
BT13 폰체스몬 라인들은 소멸 시 효과로 다른 폰체스몬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소멸 시 효과를 자주 사용해야 한다.
특히 패에 폰체스몬이 없더라도, 퍼그몬의 효과로 폰체스몬을 패로 가져온다면, 등장시킬 수 있어 BT13 폰체스몬들과 잘 어울린다
- BT13-035 폰체스몬
황/흑 폰체스몬은 자신의 턴에 소멸한다면, 패에서 체스몬을 등장시킬 수 있다.
우리의 경우에 다른 체스몬은 없기 때문에 패에 다른 폰체스몬을 등장시키게 될 것이며, 자신의 턴에 소멸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의 시큐리티와 교환하면서 내 필드의 개체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BT13-064 폰체스몬
반대로 흑/황 폰체스몬은 블로커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 턴에 소멸한다면, 패에서 체스몬을 등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턴을 마무리하면서 이 폰체스몬을 꺼내 상대의 공격을 블록하고, 추가적으로 폰체스몬을 불릴 수 있다.
그렇다고 상대 입장에서는 제거를 해도 다시 폰체스몬이 나오니, 귀찮아질 것이다
- BT13-101 미키&매리
BT13 체스몬의 발매와 함께 발매된 전용 테이머 미키&매리는 역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서로의 턴 블랙/옐로 2색 디지몬이 등장할 때, 추가 메모리와 드로우를 보조하기 때문에 먼저 살펴본 BT13 폰체스몬의 효과로 다른 폰체스몬을 등장시켰을 때, 추가 자원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황이 잘 맞는다면 상대의 턴에 내 체스몬이 소멸된다면 메모리를 땡겨와 턴을 뺏어오는 것도 가능하다
4 코스트라는 등장 코스트를 가졌지만, 등장 시 효과로 폰체스몬을 등장시키고, 추가 메모리와 드로우를 받으면 결국 3 코스트로 성장기를 등장시키고, 드로우를 받기 때문에 이런 방법으로 디지몬을 꺼내는 것도 손해보지 않고 디지몬을 꺼내는 방법이다.
- ST19-04 폰체스몬
신규 폰체스몬은 등장 시 효과로 패에서 퍼펫형을 1장 파기하고 추가 드로우를 받는다.
효과로 등장하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패 보충이 필요할 때 등장시키곤 한다
- ST19-05 폰체스몬
신규 흑/황 폰체스몬은 블로커를 가지고 있으며, 소멸 시 효과로 ST19-04 폰체스몬과 동일한 패 순환 효과를 갖는다.
다만 이번 덱에서 퍼펫형을 가지고 있는 카드가 주력 카드인 폰체스몬이기 때문에 패를 언제 어떻게 버리고 보충하는지가 중요하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내 폰체스몬을 언제 소멸시키고, 이후 플랜을 어떻게 가져갈지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폰체스몬들의 조합으로 가장 큰 이득을 취하면서 상대의 시큐리티와 교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ST19-14 키노사키 아리사
신규 테이머 키노사키 아리사는 일단 메모리 보정 테이머다.
이번 덱에서는 3 코스트가 있으면 할 수 있는 행동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채용했다.
또한 효과로 퍼펫형이 등장했을 때, 속공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BT13 폰체스몬의 효과를 활용하여 상대의 시큐리티와 교환하고, 다시 폰체스몬을 등장시키면서 속공을 부여하여 연타를 치는 등의 플레이가 가능하다
- BT14-058 워매몬
이미 유명한 3 코스트 속공 카드
등장과 함께 타마히메 사츠키를 진화원으로 놓으면서 속공을 얻을 수 있다.
- BT14-086 타마히메 사츠키
정직하게 등장시키기는 아깝고, 보통 워매몬의 효과와 함께 꺼내진다.
이렇게 속공을 얻은 워매몬에게 재밍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대 시큐리티를 아무렇지 않게 톡 칠 수 있다.
다만 우리의 경우 후속플랜이 없기 때문에 워매몬을 재기동으로 세우는 것도 좋지만, 턴 종료 시 효과로 테이머를 다시 등장시키면서 다음 플레이를 노려보는 것도 좋다.
- BT14-086 타마히메 사츠키
타마히메 사츠키의 진화원 효과로 서로의 턴 종료 시 진화원에서 다시 테이머를 등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츠키가 있다면 하이브리드체로 진화, 이후 다시 테이머 등장, 다시 하이브리드체 진화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 BT12-065 세피로트몬
세피로트몬은 3코스트로 무겁지만, 그럼에도 상대에게 강제어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강제어택을 부여하여, BT13 흑황 폰체스몬으로 블록하여 소멸 시 효과로 다시 폰체스몬 등장, 미키&마리의 효과로 다시 메모리를 받아와 턴을 스킵해버리는 플레이가 가능하며, 이 플레이가 불가능하다면 완전체로 진화하여 블래스트 진화를 노리는 것도 좋다.
- BT12-066 머큐레몬
머큐레몬은 진화 시 효과로 자신의 디지몬에 블로커를 부여하여 상대의 공세를 늦출 수 있으며, 세피로트 몬에서 0 코스트로 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강제어택 부여 및 자신의 블로커를 확보하여 수비적인 플레이도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2 코스트라는 낮은 진화 코스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막타요 하이브리드체로도 활용한다
- BT11-068 콩알몬
콩알몬의 진화 시 효과로 테이머를 등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테이머의 효과를 자주 활용하는 폰체스몬덱과 잘 어울린다.
가장 이상적인 플레이로는 콩알몬의 효과로 미키&매리 등장, 미키&매리의 등장 시 효과로 폰체스몬 등장, 키노사키 아리사의 효과로 이렇게 등장시킨 폰체스몬에 속공을 부여, 폰체스몬으로 시큐리티 어택 + 가능하다면 폰체스몬의 소멸 시 효과로 또 다른 폰체스몬 등장 등의 연타가 순식간에 가능해져 버린다
궁극체의 경우는 생각보다 활용할 일이 없었다.
보통 성장기 성숙기 완전체 선에서 모든 플랜이 돌아가기 때문에 궁극체로 진화하는 것은 조금 부담스러웠으며, 이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한 블래스트 진화가 유효했다.
궁극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후보로는, 자체적으로 블로커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의 어택에 내 필드를 부풀릴 수 있는 BT13-032 점보가메몬
시큐리티가 줄었을 때, 다시 액티브하여 여러번 블록할 수 있는 ST15-12 워그레이몬 ACE
진화와 함께 상대 디지몬/테이머에게 락을 걸어 상대의 템포를 늦ㅊ는 ST17-08 세인트가르고몬 ACE 등이 있다.
- BT13-102 한지호
한지호는 상대의 턴 한정이기는 하지만, 효과로 디지몬이 등장했을 때 추가 메모리를 보조해주기 때문에 세피로트몬으로 인한 강제 어택과, 폰체스몬의 소멸과 재등장 과정에서 메모리를 빼앗아오는 것을 지원해준다.
미키&매리만으로 한계가 있을 때, 한지호의 존재는 추가 메모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는 데 도움을 준다
- EX4-068 헤븐즈 저지먼트
강력한 제거기, 특히 폰체스몬은 자체적으로 2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DP 18000 이하의 디지몬까지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폰체스몬 덱은 보통 효과 등장과 테이머를 통한 메모리 수급이 주가 되나, 완전체 이상의 디지몬을 플레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곤 했다.
만약 궁극체를 조금 더 활용하는 축으로 덱을 구성하고 싶다면 흑색의 메모리 부스트를 채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효과로 등장시키면서 추가 메모리와 속공을 활용할 수 있는 BT7-105 프라이드 메모리 부스트
단순히 서치로 인한 안정석을 도와주는 P-039 블랙 메모리 부스트가 그 후보가 될 것이다.
'덱 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BT17] 칙칙폭폭! 그랜드로코몬 덱 (0) | 2025.09.27 |
---|---|
[BT17] 아구로, 아구몬도 할 수 있지 않을까? (0) | 2025.09.03 |
[BT17] 빠르고 강하다!! 파피몬 어그로 덱 (0) | 2025.09.03 |
[BT17] 원격폭탄, 아르고몬 덱 (0) | 2025.08.29 |
[EX6] 번뇌의 여행, 서유기 덱 (0) | 2025.07.29 |
[EX6] 루체몬 GS, 상대의 시큐리티 파기하기 (0) | 2025.07.28 |
[BT16] 돌아온 리리스루프, 강렬한 퍼포먼스 (0) | 2025.07.13 |
[BT16] 녹하브, 공격적으로 타이런트캅테리몬 활용하기 (0)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