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을 통해 디지몬 카드를 어디서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이드] 카드는 어디서 사요?)
[가이드] 카드는 어디서 사요?
최근 자주가는 커뮤니티 DCinside 디지몬TCG 갤러리에 입문자들의 질문이 많아지고 있다.이미 게임을 즐기는 테이머들은 기존의 게임 지식에서 변하는 부분만 업데이트를 하면 되지만, 게임 발매
digimontcg.co.kr
그렇다면 어떤 카드를 사야할까? 라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인데, 이번에는 발매되는 제품의 특징과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서 내게 필요한 제품은 무엇일지 살펴보자
[디지몬 카드 스타터 덱]
ST는 스타트 덱으로 편의상 구축덱 또는 스타터덱이라고도 불리는 제품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스타터덱으로 칭하겠다
권장 소비자 가격은 10,000원 이지만 일반적으로 8,000원 선에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구성으로는 덱 50장과 디지타마 4장 구축으로 구성되어있어, 스타터덱만 사용해도 기본적인 게임이 가능하다.
그러나 중요한 카드, 강력한 카드들은 2장씩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2개씩 사는 것이 일반적이다.
(같은 카드는 덱에 4장까지 넣을 수 있기 때문)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방식은 스타터덱을 통한 덱 구축과 낱장을 통한 덱 강화를 권장한다.
특히, 최근에 발매되는 스타터덱은 어울리는 오래된 카드를 함께 포함해주고 있고 발매 환경에 밀리지 않는 강력함을 자랑하기 때문에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덱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디지몬 카드 부스터 팩]
부스터팩은 일반적으로 TCG게임하면 떠오르는 팩을 뜯어서 안에 담긴 카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설렘이 담긴 형태다
스타터덱은 제품 구성이 명확하고, 게임 플레이를 위해 짜여져 있어 안정적인 구성이라면, 부스터팩은 팩마다 담겨있는 카드들이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카드를 얻기 위해서라면 조금의 운을 요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각 부스터마다 새로운 형태의 덱을 짤 수 있는 카드들을 포함하며, 기존의 카드들을 보완하는 추가 지원 카드들로 구성되어있다.
새로운 형태의 덱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환경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오는 제품이기도 하며, 개인적으로 부스터 팩의 발매 이후 게임이 가장 재미있다고 느끼는 편
보통 시장의 흐름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발매일부터 헤비유저들의 통 단위 구매 (통깡) + 매장들의 낱장 판매 시작이 시작되고
해당 팩에서 효율적이며 구하기 힘든 카드들의 가격대 형성, 그리고 카드들의 물량이 풀리면서 가격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카드를 효율적으로 구매하고 싶다면, 가격이 어느정도 안정화된 이후에 낱장을 구매하는 것이 좋으며
발매일부터 강력한 덱으로 게임을 하고 싶다거나, 다양한 카드 소스를 확보해두고 싶다면 통 단위로 구매를 하면 되겠다
물론, 팩을 뜯을 때의 설렘과 즐거움을 선호한다면 팩을 구매하는 것도 좋다
+ 추가로, 부스터 팩 또는 스타터 덱의 발매일에는 매장별로 발매 기념 이벤트를 열기도 한다.
추가 부스터 팩을 증정하거나, 가격 할인 등의 이벤트가 있으니 이를 확인하여 최적의 소비를 해보자
[덱 구매]
유저 간 거래 사이트를 보다보면, 덱 자체를 판매하는 경우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가장 쉽게 덱을 맞출 수 있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을 첫번째가 아닌 세번째로 소개하는 이유는 매물이 없다면 쉽게 구하지 못하기 때문
일반적으로는 위 사진과 같이 덱 구성을 함께 보여주면서 판매하는데, 필요한 카드들을 낱장으로 구매하는 노력이 확연히 줄어들기 때문에 편하고 간편하다.
그러나 유저간 거래이기 때문에 사기는 항상 조심해야 하고, 사전에 카드 시세를 알아보고 지나치게 비싼 가격에 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
[추가 정보]
제품 구매 가이드라는 글의 내용과 맞지 않아 소개하지 않았지만, 알아두면 좋은 내용들을 함께 정리하며 이번 글도 마무리하겠다
1. 발매텀
한국의 디지몬 카드 게임은 매달 1개의 제품 발매라는 빠른 발매텀을 가지고 있다.
빠른 발매텀을 가지고 있는 만큼, 지출이 증가할 수 있는 점과 환경이 자주 바뀔 수 있다는 점을 함께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제품의 발매는 부스터팩 (BT)를 기준으로 부스터팩 발매 후 - 테마 부스터 (EX) 또는 스타터덱 (ST) 발매 - 다시 부스터팩 발매 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금 보기 쉽게 정리하자면 BT - EX or ST - BT - EX or ST - .... 의 반복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2. BT? EX? ST? 는 뭐에요?
- ST : 스타터덱, 54장의 구축덱과 추가 카드들을 수록한 카드들
- BT : 부스터팩, 가장 메인이 되는 팩으로 가장 많은 종류의 카드와 새로운 덱 아키타입, 기존 덱들에 대한 지원카드를 포함하고 있음
흔히 BT뒤에 붙는 넘버링을 기준으로 환경을 나눈다
ex) BT15 = 15탄 / BT16 = 16탄
- EX : 테마부스터, BT보다는 조금 작은 규모로 특정 테마를 주제로 구성된 부스터팩, 카드 종류가 적으니만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BT보다는 적은 편이며, 약간 .5 같은 느낌이 된다
- RB : 리부트팩, 발매된지 오래되어 구하기 힘들지만, 범용적인 성능으로 오래 쓰이는 카드들을 다시 재발매해주는 일종의 복각팩
현재는 RB1 이후로 소식이 없다
3. 레어도는 어떻게 돼요?
레어도는 팩 단위로 발매되는 BT를 기준으로 책정된다
1팩당 카드 6장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4장의 커먼(C), 1장의 언커먼 (U), 그리고 1장의 레어(R), 슈퍼레어 (SR), 시크릿레어 (SEC), 패러렐레어 (PR) 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높은 레어도는 SR과 SEC로 1통당 수록되는 매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
각 부스터 1박스 당 포함하는 레어는 커먼과 언커먼을 제외하면 다음과 같다
- BT
: 1 SEC or 1 PR / 3~4 SR / 19~20 R
: 통당 SEC 또는 PR 1장 / SR는 3~4장
- EX
: 1 SEC + 1 PR or 2PR or 1SEC or 1 PR / 3~4 SR / 18~20 R
: 통당 SEC 또는 PR 합쳐서 2장, 또는 1장만 / SR는 그대로 3~4 장
SEC레어는 1카톤 (24통) 당 8통의 비율로 들어있으며, 1통에서 1장도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수량이 적은 편이며, 비교적 고가의 가격으로 형성된다
PR는 같은 통에 수록된 카드들 중 몇몇 카드의 다른 일러스트 버전이 수록되며, 더욱 좋은 레어도 처리가 되어있다.
수록되는 위치가 SEC와 동일하기 때문에, 성능도 좋지 않고 인기도 없는 PR가 SEC 자리를 차지하여 꽝카드가 되기도 하고
SEC 카드의 PR 카드가 나오면서 당첨 카드가 되기도 한다.
각각 카드의 가격대는 발매 환경과 성능, 봉입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커뮤니티 등을 통해 무엇이 좋은 카드인지 확인하면 좋을 것이다
'입문자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이드] 디지몬카드, 덱은 어떻게 짜요? (0) | 2025.05.16 |
---|---|
[가이드] 디지몬카드, 게임 규칙은 뭐에요? (0) | 2025.05.15 |
[가이드] 디지몬카드, 어디서 사요? (0) | 2025.05.15 |
[기초] 나와 맞는 색은 어떤 색일까? (0) | 2024.09.29 |
[기초] 덱 빌딩 방법 (0) | 2024.08.25 |
[기초]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 찾기 (0) | 2024.08.25 |